• 시민주권실현운동본부
  • 공약평가
  • 후보알아보기
    • 후보알아보기
    • 카드뉴스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청년칼럼
  • 정당선택도우미
    • 정당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 시민공약배달부

경실련 후보선택도우미

  • 시민주권실현운동본부
  • 공약평가
  • 후보알아보기
    • 후보알아보기
    • 카드뉴스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청년칼럼
  • 정당선택도우미
    • 정당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 시민공약배달부

공약평가

[공약평가][2014 지방선거] 대구시장 권영진 후보 3대 핵심 공약

대구시장 후보 (권영진 vs. 김부겸) 3대 핵심 공약



⓵ 취지 
▪대구는 20년째 GRDP (지역내 총생산) 전국 꼴찌이며 일자리 부족으로 지난 10년 동안 해마다 10,000명의 2,30대가 대구를 떠나고 있는 현실임.
▪현재의 도시계획 또한 미래지향적이지 못하고, 지역간 불균형 발전, 도시재정비사업 부진, 공공시설 이전 후적지 개발 등이 지연 되고 있음.
▪ 대구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고, 미래의 먹거리를 만들기 위해 대구를 창조경제의 수도․창조산업의 메카로 만들고, 다가오는 인구 300만 시대를 대비하여 도시계획을 전면 혁신할 필요가 있음.


⓶ 세부공약
▪ 대한민국 ‘창조경제특별시’ 추진

    – 창조경제특별추진단 구성 및 ‘창조경제특별시’ 근거법 마련

    – 창조경제특별시 추진을 위한 범시민협의회 구성

    – 창조경제 관련 공공기관 및 연구소 유치
▪ 「대구를 살리는 일자리정책」추진

    – 대기업 및 글로벌기업 3개 유치

    – 중기업 300개 및 중견기업 50개 육성

    – 기업 유치 인센티브 지원

    – 민관합동 일자리정책 추진 기구 신설

    – 시장 직속 ‘ONE-STOP 일자리 지원센터’ 신설
▪ 청년 벤처 창업 지원

    – 청년창업펀드 조성

    – 창조아카데미 설립, 스마트 벤처창업학교 증설

    –  청년기업가 발굴 창업경진대회 개최

    –  청년벤처 창업 공간 확충
▪ 도청 후적지 ‘창조경제타운’ 조성

   – 창의인력 양성

   – 스마트팩토리 사업 지원

   – 창조경제 혁신네트워크 구축
▪ 주력산업 ‘창조경제벨트’ 조성

   – DG-Made․뿌리산업융합․의료산업․MICE유통산업․브레인 타운 등 5개 광역클러스터 운영-  SW융합 클러스터 조성
▪ 대구․경북 창조경제 공동사업 확대

   – 글로벌 창조경제포럼 공동 개최

   – 쉬메릭․실라리안 브랜드 공동 운영

   – 슈퍼 소재․첨단메디컬 상호연계 협력 강화

   –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 기업 유치단 공동 운영

   – 차세대 전략사업 공동 연구 및 육성

   – 남부권 초광역경제권 구축

   – 남부권 초광역발전계획 수립

   – 대구경북․부울경․광주․전남북 경제협력 강화
▪ 도시계획 전면 혁신

   – 창의적 도시재생 추진기구(‘창의도시재생센터’) 신설

   – 도시계획 관련 부서 개편 및 도시계획자문관 제도 도입
▪ 균형발전을 위한 부도심 개발

   – 대구 부도심 활성화 계획 수립

   – 각 부도심별 맞춤형 개발 방향 수립 
▪ 도시재정비(뉴타운)사업 활성화

   – 도시재생 뉴딜기금 조성

   – 도심 폐․공가 전수조사 및 등급별 재조성 추진

   – 마을단위 도시재생 컨설팅단 구성

   – 주민참여 도시학교 등 주민 역량강화 프로그램 상설화
▪ 동대구 비즈니스거리 조성

     – 동대구 비즈니스거리 프로젝트 계획 수립

     – 도시가로 디자인 시범 사업 실시
▪ 공공시설 이전 후적지 개발계획 수립

     – 이전 후적지 종합개발전략 수립

     – 전략개발지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 여건 조성
▪ 도심공단 재생사업 추진

     – 장기간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는 도심공단 재생사업 조속 추진

     – 염색공단 공해(악취 등) 해결방안 등 연구용역 실시

     – 제3공단의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해 산업, 문화, 환경이 접목된 도시형 복합산업단지 조성          
▪ K-2 및 군사시설 이전 후적지 개발

     – K-2 공군기지 및 군사시설 이전 후적지 활용을 위한 민․관․군 합동협의체 구성


⓷ 4년간 실행 계획
 ▪ 대한민국 ‘창조경제특별시’ 추진

▪ 「대구를 살리는 일자리정책」추진


▪ 청년 벤처 창업 지원


▪ 도청 후적지 ‘창조경제타운’ 조성


▪ 주력산업 ‘창조경제벨트’ 조성


▪ 대구․경북 창조경제 공동사업 확대


▪ 남부권 초광역경제권 구축


▪ 도시계획 전면 혁신


▪ 균형발전을 위한 부도심 개발

▪ 도시재정비(뉴타운)사업 활성화

▪ 동대구 비즈니스거리 조성


▪ 공공시설 이전 후적지 개발계획 수립


▪ 도심공단 재생사업 추진

▪ K-2 및 군사시설 이전 후적지 개발

⓸ 재원마련 대책
▪ 전체예산규모


▪ 재원마련 대책

    – 국비 확보 및 시비 조정, 민간투자 유치

    – 불합리한 낭비성․전시성 예산 폐지

    – 시민원탁회의․주민참여예산제 등을 통한 합리적 예산 편성


⓹ 재원 활용 계획
▪ 대한민국 ‘창조경제특별시’ 추진


▪ 「대구를 살리는 일자리정책」추진

▪ 청년 벤처 창업 지원


▪ 도청 후적지 ‘창조경제타운’ 조성

▪ 주력산업 ‘창조경제벨트’ 조성

▪ 대구․경북 창조경제 공동사업 확대

▪ 남부권 초광역경제권 구축

▪ 도시계획 전면 혁신


▪ 균형발전을 위한 부도심 개발

▪ 도시재정비(뉴타운)사업 활성화


▪ 동대구 비즈니스거리 조성

▪ 공공시설 이전 후적지 개발계획 수립


▪ 도심공단 재생사업 추진

▪ K-2 및 군사시설 이전 후적지 개발

⓺ 기대효과
▪ 대한민국 “창조경제수도 대구” 건설
▪ 대구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대구 미래먹거리 창출
▪ 인구 300만 시대 대비한 대구 미래 비전 확립
▪ 도시 균형발전, 시민 재산권 보호, 도심 재생

⓵ 취지
▪ 대구의 강점 중 하나는 풍부한 인재풀에 있음.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자신들의 꿈과 끼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어 주고, 인생 2모작 시대를 맞아 평생학습을  강화하는 등 대구를 글로벌인재 양성․명품교육 도시로 조성
▪ 대구만의 독특한 문화를 살리지 못해 대구가 특색없는 도시화 되어 가고 있음. 이에 대구가 갖고 있는 문화관광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 톡톡 튀는 문화관광도시 대구를 만들어 가고자 함.

⓶ 세부공약
▪ 창의․인성․체험교육 지원
    – 창의․인성교육 지원 

    – 어린이․청소년 ‘직업체험 테마파크’ 조성 

     – 학교 스포츠클럽 및 예술동아리 활동 지원 

    – 방과후 교육 및 학생들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 지원
▪ 저소득층을 위한 ‘교육나눔운동’ 확대

    – 아동․청소년 공부방 개설 및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지원
▪ 초등학생 전면 친환경무상급식 시행

    –  친환경무상급식추진위원회 구성 및 교육청과 협약 체결
   – ‘친환경 식자재 인증 및 공급센터’ 설치
   – 급식비 지급
 ▪ 안전한 학교․쾌적한 교실 지원
    – 학교보완관(배움터지킴이) 제도 지원 강화
    – 학교 안팎 노후 CCTV 교체 및 신규 설치 확대
    – 경찰․교육청․시청이 함께 하는 ‘삼각협의체’ 운영
    – 노후화된 학교 시설물 교체 지원
    – 교실 냉․난방 시설 개선 지원
 ▪ 중국어 중심 국제학교 설립 및 교육국제화
    – 중국어 중심 국제학교 설립
    – 글로벌 종합교육센터 건립
    – (권역별) 외국어 전용 작은 도서관 건립
    – 외국인 유학생~시민 커뮤니케이션 파트너십 프로그램 운영
    – ‘국제교육도시연합(IAEC) 가입
 ▪ 대구 ‘영어라디오 방송’ 개국
    – 영어라디오 방송 법인 설립
    – 방송사업 인․허가 행정 지원
 ▪ 인생 2모작 ‘행복교육’ 강화
    –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학습 프로그램 확대
    – 사이버 평생학습시스템 구축
 ▪ 인재 양성의 요람 ‘대구학숙’ 건립
    – 대구교육청과 협력사업으로 진행
    – ‘대구학숙’ 건립 부지 마련
    – ‘대구학숙’ 건립
 ▪ 지역 대학과의 협력 강화
    – 글로벌인재양성 프로그램 지원
    – 산학협력 및 특화산업 인재양성 프로그램 지원
    – ‘대학생교육재능기부’ 프로그램(대학생 멘토단) 지원
 ▪ 창의교육기획관 신설
    – 시장 직속 창의교육기획관(국장급) 임명 및 조례 제정
    – 대구시교육청과 교육환경 개선 및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대구시 교육행정협의회’ 정기 개최
 ▪  문화 예산 3배 증액
    – 문화예술 분야 예산 증액
    –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
    – 예술인 창작안전망 확대 및 문화예술단체 지원 확대
    – 장애인, 저소득층 등 문화소외 계층 문화복지 확대
    – 주민자치센터, 공공 유휴시설을 활용한 ‘생활문화지원센터’ 운영
   ▪ 공연문화도시 조성
    – 공연문화중심도시 법제도 정비
    – 공연문화클러스터 및 거리 조성
    – 국립공연진흥원 유치
   ▪  문화예술영재진흥센터 설립․국립청소년수련관 유치
    – 문화예술발전소 내 「국립 문화예술영재진흥센터」설립
    – 국립청소년수련관 유치
   ▪ 어린이회관 전면 리모델링
      – 어린이회관 리뉴얼과 복합 테마파크화
   ▪ 톡톡 튀는 다양한 문화브랜드 개발
      – 오페라축제, 뮤지컬페스티벌 글로벌 대표축제 육성
      – 김광석 포크 페스티벌, `RED HOT Festival` 개최
      – 창작예술인, 인디밴드 등 실험예술 축제
      – 생활문화 공동체 마을축제 발굴 및 지원
   ▪ 대구의 3대 시민정신 계승
      – 국채보상운동 기념식을 시 차원으로 승격
      – 협동조합운동을 제2의 새마을운동으로 계승
      – 시립역사박물관 건립
   ▪ 경제를 살 찌우는 문화산업 지원
      – SW․콘텐츠산업 클러스터 확대 조성
   ▪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행정 지원
      – 팔공산, 앞산, 비슬산 연계 및 등산코스 정비
      – 선체험관-힐링빌리지-첨복단지 관광코스 개발
    ▪  체류형 의료관광 클러스터 조성
      – 항노화, 피부미용, 줄기세포 등 특화 전문병원 유치
      – 장기 체류형 리조트숙박시설, 관광 및 오락시설 유치
      – 수성의료지구 테마형 의료관광 특화
    ▪  스토리가 있는 관광도시 구현
       –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및 전문 스토리텔러 양성
       – 경북 3대 문화권의 문화원형자산과 대구의 첨단 문화기술의 융합으로 킬러콘텐츠 발굴, 산업화
    ▪ 특화거리 조성
       – 골목 특성화 및 세대별 특화구역 육성
       – 도심 전통문화재 복원 및 정비사업




⓷ 4년간 실행 계획
   ▪ 창의․인성․체험교육 지원

   ▪ 저소득층을 위한 ‘교육나눔운동’ 확대

   ▪ 초등학생 전면 친환경무상급식 시행

   ▪ 안전한 학교․쾌적한 교실 지원

   ▪ 중국어 중심 국제학교 설립 및 교육국제화

   ▪ 대구 ‘영어라디오 방송’ 개국

   ▪ 인생 2모작 ‘행복교육’ 강화

   ▪ 인재 양성의 요람 ‘대구학숙’ 건립

   ▪ 지역 대학과의 협력 강화


   ▪ 창의교육기획관 신설

   ▪ 문화 예산 3배 증액

   ▪ 공연문화도시 조성

   ▪ 문화예술영재진흥센터 설립․국립청소년수련관 유치


   ▪ 어린이회관 전면 리모델링


   ▪ 톡톡 튀는 다양한 문화브랜드 개발

   ▪ 대구의 3대 시민정신 계승

   ▪경제를 살 찌우는 문화산업 지원

   ▪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 체류형 의료관광 클러스터 조성


   ▪ 스토리가 있는 관광도시 구현


   ▪ 특화거리 조성


⓸ 재원마련 대책
   ▪ 전체 예산규모 

    ▪ 재원마련 대책
     – 국비 확보 및 시비 조정, 민간투자 유치
     – 불합리한 낭비성․전시성 예산 폐지
     – 시민원탁회의․주민참여예산제 등을 통한 합리적 예산 편성 
 
⓹ 재원 활용 계획
    ▪  창의․인성․체험교육 지원

    ▪ 저소득층을 위한 ‘교육나눔운동’ 확대


    ▪ 초등학생 전면 친환경무상급식 시행


    ▪ 안전한 학교․쾌적한 교실 지원


    ▪  중국어 중심 국제학교 설립 및 교육국제화

    ▪  대구 ‘영어라디오 방송’ 개국

    ▪  인생 2모작 ‘행복교육’ 강화


    ▪  인재 양성의 요람 ‘대구학숙’ 건립


    ▪  지역 대학과의 협력 강화


    ▪  창의교육기획관 신설


    ▪  문화 예산 3배 증액

    ▪  공연문화도시 조성


    ▪  문화예술영재진흥센터․국립청소년수련관 유치

    ▪  어린이회관 전면 리모델링

    ▪  톡톡 튀는 다양한 문화브랜드 개발

    ▪  대구의 3대 시민정신 계승

    ▪  경제를 살 찌우는 문화산업 지원

    ▪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  체류형 의료관광 클러스터 조성

    ▪  스토리가 있는 관광도시 구현

    ▪  특화거리 조성



⓺ 기대효과
▪아이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명품교육․교육복지 서비스 확대
▪ 대구 교육의 글로벌화 추진
▪ 대구 문화예술관광 자원의 특성화 및 친주민 인프라 확대
▪ 문화와 산업을 연계한 지역 발전 도모

⓵ 취지
▪ 시정의 중심은 시민이고, 공직 사회가 시민의 눈높이에 맞추도록  혁신이 필요하며, 시민들에게 군림하는 ‘갑’이 아닌 존경받는 ‘을’로   인식 전환 필요
▪ 실질적 지방분권과 시민참여 시정을 획기적으로 확대해서 대구시와 대구시민의 명예와 자긍심 고취


⓶ 세부공약
▪ 시민원탁회의 신설
▪ 시민정책공모제․정책평가제 확대

    – 창의적 시민 아이디어 공모 및 평가
▪ 시민행복 콜센터 설치

    – 분야별 전문 상담 서비스 제공
▪ 전문성․능력 위주 인사 혁신

    – 지방공기업 임원 인사청문회 실시

    – 내부 인사공모제 확대 시행

    – 공직인사평가제도 개선
▪정책실명제 및 책임제 도입
▪ 지방분권 강화 및 재정건전성 확보

    – 지방분권혁신 시범도시 지정 추진

    – 대구시 재정자율성 확대 및 재정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 주민참여예산제 적극 추진- 주민참여예산제 시민위원회 구성
   – 예산편성 의견 수렴 주민 공청회 개최
   – 예산․재정정보 공개


⓷ 4년간 실행 계획

▪시민원탁회의 신설

▪ 시민정책공모제․정책평가제 확대

▪ 시민행복 콜센터 설치

▪전문성․능력 위주 인사 혁신


▪ 정책실명제 및 책임제 도입

▪ 지방분권 강화 및 재정건전성 확보


▪ 주민참여예산제 적극 추진

⓸ 재원마련 대책

▪ 전체 예산규모 

 ▪ 재원마련 대책 
      – 국비 확보 및 시비 조정, 민간투자 유치
      – 불합리한 낭비성․전시성 예산 폐지
      – 시민원탁회의․주민참여예산제 등을 통한 합리적 예산 편성


⓹ 재원 활용 계획
 ▪  시민원탁회의 신설


 ▪  시민정책공모제․정책평가제 확대


 ▪  시민행복 콜센터 설치


 ▪  전문성․능력 위주 인사 혁신

 ▪  정책실명제 및 책임제 도입

 ▪  지방분권 강화 및 재정건전성 확보

 ▪  주민참여예산제 적극 추진

⓺ 기대효과
▪ 지방분권, 주민자치 내실화
▪ 주민과 함께 시정의 책임성․투명성 제고 
▪ 공직 혁신을 통한 주민 행정서비스 강화

  • 경실련 정당선택도우미

    정책을 보고 투표하세요.
    경실련 정책선거 도우미가 당신의
    선택을 도와 드립니다.

  • CONTACT

    03085 서울시 종로구 동숭3길 26-9

    02-3673-2141

    02-741-8564

    reform@ccej.or.kr

  • QUICK LINK
    • 경실련 홈페이지
      • 선거바로보기
    • 유권자운동본부
      • 청년칼럼
      • 청년인터뷰
      • 청년공약평가
      • 청년캠페인
    • 공약평가
      • 공약평가하기
    • 후보알아보기
      • 지난 선거운동 자료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정당선택도우미
      • 후보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경제정의시민실천연합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