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권자운동본부
    • 후보알아보기
  • 공약평가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청년칼럼
  • 카드뉴스
  • 후보선택도우미
    • 후보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경실련 후보선택도우미

  • 유권자운동본부
    • 후보알아보기
  • 공약평가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청년칼럼
  • 카드뉴스
  • 후보선택도우미
    • 후보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공약평가

[공약평가][2014 지방선거] 경기지사 김진표 후보 3대 핵심 공약

경기지사 후보 (남경필 vs. 김진표) 3대 핵심 공약

⓵ 취지
▪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이며,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도정의 제1 목표
▪ 민선 3기 연평균 18만개씩 증가했던 경기도 일자리가 민선 5기에는 연평균 10만개로 감소했음
▪ 청년고용률이 40% 밑으로 떨어져 사상 최저를 기록할 정도로 심각한 취업난을 겪고 있음

⓶ 세부공약
▪ 경기도 강소기업 육성
▪ ‘경기청년일자리펀드’ 조성
▪ ‘경기청년산업단지’ 인증제 도입
▪ 4단계 청년창업 지원프로그램 구축
▪ ‘경기 소상공인 창업아카데미’ 개설
▪ 경기 소상공인자금 확대 지원
▪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인력 양성
▪ 특성화고 등 전문계고생 일자리 정책
▪ ‘경기 Job Pool` 선정
▪ ‘경기 사회적경제진흥원` 설립
▪ ‘사회적경제 금융재단` 설립
▪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
▪ 경력단절 여성 단계적 취업 프로그램 운영
▪ 장년 및 고령자 재취업 지원


⓷ 4년간 실행 계획

▪경기도 강소기업 육성

 
▪ 경기청년일자리펀드’ 조성


▪ ‘경기청년산업단지’ 인증제 도입

▪ 4단계 청년창업 지원프로그램 구축


    – 위 사항을 지속 실행

▪ ‘경기 소상공인 창업아카데미’ 개설


▪ 경기 소상공인자금 확대 지원

▪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인력 양성


▪ 특성화고 등 전문계고생 일자리 정책


▪ ‘경기 Job Pool` 선정

▪ ‘경기 사회적경제진흥원` 설립


▪‘사회적경제 금융재단` 설립


▪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


▪ 경력단절 여성 단계적 취업 프로그램 운영


▪ 장년 및 고령자 재취업 지원


⓸ 재원마련 대책

                                                                                                 (단위 : 백만원)


⓹ 재원 활용 계획

▪  경기도 강소기업 육성

                                                                                                 (단위 : 백만원)

▪  ‘경기청년일자리펀드’ 조성

                                                                                                 (단위 : 백만원)

    -경기도는 4,000억원에 대한 약 1.2%의 금리차이 부담(연간 48억원)

▪ ‘경기청년산업단지’ 인증제 도입

                                                                                                 (단위 : 백만원)

▪  4단계 청년창업 지원프로그램 구축

                                                                                                 (단위 : 백만원)


▪  ‘경기 소상공인 창업아카데미’ 개설

                                                                                                 (단위 : 백만원)

▪ 경기 소상공인자금 확대 지원

                                                                                                 (단위 : 백만원)


▪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인력 양성

                                                                                                 (단위 : 백만원)

▪  특성화고 등 전문계고생 일자리 정책

                                                                                                 (단위 : 백만원)

▪ ‘경기 Job Pool` 선정

                                                                                                 (단위 : 백만원)

▪ ‘경기 사회적경제진흥원` 설립

                                                                                                 (단위 : 백만원)

▪  ‘사회적경제 금융재단` 설립

                                                                                                 (단위 : 백만원)


▪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

                                                                                                 (단위 : 백만원)


▪  경력단절 여성 단계적 취업 프로그램 운영
                                                                                                 (단위 : 백만원)

▪  장년 및 고령자 재취업 지원
                                                                                                 (단위 : 백만원)

⓺ 기대효과
▪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로 안정적인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도민의 삶을 안정시키고 살기 좋은 ‘1등 경기도‘ 지향 
▪ 경쟁력 있는 강소기업 육성을 통한 중소기업 기술력 제고 및 좋은 일자리 증가
▪ 계층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으로 일자리 복지 실현


⓵ 취지
▪ 가구총소득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최저생계비에 미치지 못하는 절대빈곤층이 전체 가구의 7.8%인데, 정부의 보호를 받는 기초생활수급자는 2.8%인 140만 명에 불과 (보건복지부)
▪ 정부의 ‘긴급 복지지원제도’는 대상자 선정이 까다롭고 제도적 접근이 어려워 2013년 971억원의 예산 중 실제 집행액은 536억원에 그침


⓶ 세부공약
 

⓷ 4년간 실행 계획
 ▪ ‘세모녀 비극방지 기본소득법’ 추진


▪‘어깨동무 복지’로 복지전달체계 개선

▪ ‘복지 신문고 센터’로 긴급 구조체계 구축

▪일시 노동력 상실 비수급 빈곤층 지원

▪ 고용‧산재보험 의제가입제도 추진

▪ 생활임금 도입

⓸ 재원마련 대책
                                                                                                 (단위 : 백만원)

⓹ 재원 활용 계획
 ▪ ‘세모녀 비극방지 기본소득법’ 추진

                                                                                                 (단위 : 백만원)


▪ ‘어깨동무 복지’로 복지전달체계 개선

                                                                                                 (단위 : 백만원)


▪  ‘복지 신문고 센터’로 긴급 구조체계 구축

                                                                                                 (단위 : 백만원)


▪ 일시 노동력 상실 비수급 빈곤층 지원

                                                                                                 (단위 : 백만원)


▪  고용‧산재보험 의제가입제도 추진

                                                                                                 (단위 : 백만원)

▪ 생활임금 도입

                                                                                                 (단위 : 백만원)


⓺ 기대효과
▪‘세 모녀 자살사건’과 같은 비극적 사건 발생을 방지하여 도민의 행복 증진
▪‘복지전달체계의 개선으로 재정의 누수를 막으면서 복지혜택 최대화
▪복지전달체계에서 소외된 가구에 대한 복지서비스 제공
▪일시적 사고에 대한 사회안전망 제공으로 극단적 상황 방지
▪근로자의 임금 인상으로 저소득 도민의 삶의 질 개선
▪ 도민의 소득 증가로 내수 활성화 및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


⓵ 취지
 ▪서민과 중산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공공 임대주택 공급이 절실
 ▪전세보증금의 한도 확대 및 대출금리 경감을 통한 서민 주거복지 향상에 기여

 

⓶ 세부공약
 ▪장기 공공임대 주택 매년 3만호 공금
 ▪ 리츠방식 도입으로 민관협력에 의한 임대주택 건설
 ▪ 미분양 아파트, 도시형 생활주택의 임대주택 활용
 ▪ ‘누구나 전세보증’ 도입 추진
 ▪ ‘전월세 보증금지원센터’ 설치를 통한 전세입자의 주거 안정


⓷ 4년간 실행 계획
 ▪ 장기 공공임대 주택 매년 3만호 공급


 ▪ 리츠방식 도입으로 민관협력에 의한 임대주택 건설

  
 ▪ 미분양 아파트, 도시형 생활주택의 임대주택 활용

 ▪ ‘누구나 전세보증’ 도입 추진

 ▪‘ 전월세 보증금지원센터’ 설치를 통한 전세입자의 주거 안정

⓸ 재원마련 대책
                                                                                                 (단위 : 백만원)



⓹ 재원 활용 계획
 ▪ 장기 공공임대 주택 매년 3만호 공급

                                                                                                 (단위 : 백만원)


 ▪ 리츠방식 도입으로 민관협력에 의한 임대주택 건설

                                                                                                 (단위 : 백만원)

 ▪ 미분양 아파트, 도시형 생활주택의 임대주택 활용

                                                                                                 (단위 : 백만원)


 ▪‘누구나 전세보증’ 도입 추진

                                                                                                 (단위 : 백만원)

 ▪ ‘ 전월세 보증금지원센터’설치를 통한 전세입자의 주거 안정

                                                                                                 (단위 : 백만원)

⓺ 기대효과
   ▪ 주거 취약계층에게 장기 임대주택을 공급함으로써 주거복지 실현
   ▪ 세입자의 불이익을 해소하고 전세 걱정 없는 주거 안정 도모

  • 경실련 후보선택도우미

    정책을 보고 투표하세요.
    경실련 정책선거 도우미가 당신의
    선택을 도와 드립니다.

  • CONTACT

    03085 서울시 종로구 동숭3길 26-9

    02-3673-2141

    02-741-8564

    reform@ccej.or.kr

  • QUICK LINK
    • 경실련 홈페이지
      • 선거바로보기
    • 유권자운동본부
      • 청년칼럼
      • 청년인터뷰
      • 청년공약평가
      • 청년캠페인
    • 공약평가
      • 공약평가하기
    • 후보알아보기
      • 지난 선거운동 자료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정당선택도우미
      • 후보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경제정의시민실천연합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