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주권실현운동본부
  • 공약평가
  • 후보알아보기
    • 후보알아보기
    • 카드뉴스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청년칼럼
  • 정당선택도우미
    • 정당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 시민공약배달부

경실련 후보선택도우미

  • 시민주권실현운동본부
  • 공약평가
  • 후보알아보기
    • 후보알아보기
    • 카드뉴스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청년칼럼
  • 정당선택도우미
    • 정당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 시민공약배달부

공약평가

[공약평가][2014 지방선거] 전북지사 송하진 후보 3대 핵심 공약

전북지사 후보 (박철곤 vs. 송하진) 3대 핵심 공약

 전북

1. 후보자께서 이번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해 제시한 공약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공약 3개를 선택한다면 어떤 공약을 꼽을 수 있습니까? 아래의 공란에 기입해 주십시오.

□ 제1핵심공약 : 자원순환 농산어촌마을 조성

□ 제2핵심공약 : 전북관광패스라인 구축

□ 제3핵심공약 : 탄소산업 4대 전략기지 조성

2. 위의 제1핵심공약의 필요성이 무엇인지, 4년간의 공약시행 로드맵, 예산 배분 계획, 기대효과 등을 아래 형식에 맞춰 구체적으로 기입해 주십시오.

2-1. 제1핵심공약을 제시한 배경 및 취지를 설명해주십시오.

○ 농업부산물, 축산폐기물, 생활폐기물 등에 의해 농산어촌마을의 환경파괴가 심각한 상황

○ 전라북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생태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어 이를 활용한 농업과 관광산업 등의 잠재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자원순환 마을의 필요성이 높음

○ 실례로 고군산군도에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쓰레기 문제가 심각

 

2-2. 제1핵심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세부 공약(세부 실행 프로그램)을 모두 기입해주십시오. (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적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 자원순환마을 14개소 조성

 

2-3. (2-2)에서 기재하신 세부 공약별로 4년간의 시행 로드맵을 연도별 목표치와 함께 구체적으로 기입해주십시오. (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단일공약에 대한 4년간의 시행 로드맵을 작성해주십시오)

세부공약 01) 자원순환마을 14개소 조성

년도 공약로드맵
2014 자원순환마을 조성 매뉴얼 구축
2015 자원순환마을 공모 및 선정
2016 자원순환마을 교육 및 컨설팅
2017 평가 및 이후 확대

 

2-4-1. 제1핵심공약을 달성하기 위한 전체 예산규모와 함께 세부적인 재원마련 대책을 기재해 주십시오.((2-2)에서 기재하신 세부공약별로 하시거나 아니면 세부공약을 종합하여 작성해 주십시오)

○ 총 사업비 70억원

– 국비 30억원, 도비 20억원, 시군비 20억원

 

2-4-2. 제1핵심공약을 달성하기 위한 4년간의 예산 배분 계획을 (2-2)에서 기재하신 세부공약별로 기재해주십시오.(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단일공약에 대한 4년간의 예산배분계획을 작성해주십시오)

 

세부공약 01) 자원순환마을 조성

2014 2015 2016 2017
국비 10억원 10억원 10억원
시도비 0.5억원 6.5억원 6.5억원 6.5억원
시군구비 0.5억원 6.5억원 6.5억원 6.5억원
민자
기타 및 비예산

 

2-5. 제1핵심공약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기대하는 효과는 무엇인지를 기재해주십시오.

○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농촌마을 조성

○ 농산어촌의 환경오염 방지를 통해 관광자원 및 매력물 지속가능성 확보

 

3. 위의 제2핵심공약의 필요성이 무엇인지, 4년간의 공약시행 로드맵, 예산 배분 계획, 기대효과 등을 아래 형식에 맞춰 구체적으로 기입해 주십시오.

3-1. 제2핵심공약을 제시한 배경 및 취지를 설명해주십시오.

○ 2013년 기준 전라북도 내에서 관광지를 2곳 이상 방문하는 관광객의 비중은 19.9%로 그 비율이 매우 낮음. 80%이상이 단일관광지 관람

○ 전북관광의 대내외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접 광역 관광교통체계 구축 및 숙박시설, 관광지 연계 강화를 통해 전북관광 패스라인 구축

○ 교통, 숙박, 식음료, 입장료 등의 관광상품을 패키지로 할인하여 관광지를 연계하는 토탈관광 시스템 구축 및 관광소비 촉진

 

3-2. 제2핵심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세부 공약(세부 실행 프로그램)을 모두 기입해주십시오. (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적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 주요관광시설 연계 대표 관광상품 개발 및 인프라 구축

○ 전북관광패스권 발행 및 시행

 

3-3. (3-2)에서 기재하신 세부 공약별로 4년간의 시행 로드맵을 연도별 목표치와 함께 구체적으로 기입해주십시오. (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단일공약에 대한 4년간의 시행 로드맵을 작성해주십시오)

 

세부공약 01) 주요관광시설 연계 대표 관광상품 개발 및 인프라 구축

년도 공약로드맵
2014 전북관광패스라인 연계관광상품 개발
2015 전북관광패스라인을 위한 인프라 구축
2016
2017

 

세부공약 02) 전북관광패스라인 구축

년도 공약로드맵
2014
2015 관광패스라인 민관협의체 구성
2016 전북관광 패스라인 시행
2017 평가 및 보완

 

3-4-1. 제2핵심공약을 달성하기 위한 전체 예산규모와 함께 세부적인 재원마련 대책을 기재해 주십시오.((3-2)에서 기재하신 세부공약별로 하시거나 아니면 세부공약을 종합하여 작성해 주십시오)

○ 총사업비 50억원

– 도비 25억원, 시군비 25억원

 

3-4-2. 제2핵심공약을 달성하기 위한 4년간의 예산 배분 계획을 (3-2)에서 기재하신 세부공약별로 기재해주십시오.(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단일공약에 대한 4년간의 예산 배분 계획을 작성해주십시오)

 

세부공약 01) 전북관광패스라인 구축

2014 2015 2016 2017
국비
시도비 3억원 15억원 5억원 2억원
시군구비 15억원 7억원 3억원
민자
기타 및 비예산

 

3-5. 제2핵심공약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기대하는 효과는 무엇인지를 기재해주십시오.

○ 도내 관광객 체류시간 연장 및 체류관광 증대로 지역경제 활성화

○ 관광지 허브를 중심으로 연계관광을 통한 지역관광활성화

 

4. 위의 제3핵심공약의 필요성이 무엇인지, 4년간의 공약시행 로드맵, 예산 배분 계획, 기대효과 등을 아래 형식에 맞춰 구체적으로 기입해 주십시오.

4-1. 제3핵심공약을 제시한 배경 및 취지를 설명해주십시오.

○ 탄소관련 기업의 “연구개발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원소재, 중간재, 가공 등 시험생산 관련 핵심장비 일괄 구축 필요

○ 전주중심의 탄소산업인프라를 바탕으로 조선,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농기계 등의 4대 탄소융복합산업을 전북으로 확장

 

4-2. 제3핵심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세부 공약(세부 실행 프로그램)을 모두 기입해주십시오. (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적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개발

○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신뢰성평가인증센터 구축

○ 탄소복합재 성형기술센터 구축

 

4-3. (4-2)에서 기재하신 세부 공약별로 4년간의 시행 로드맵을 연도별 목표치와 함께 구체적으로 기입해주십시오. (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단일공약에 대한 4년간의 시행 로드맵을 작성해주십시오)

 

세부공약 01) 초고강도 탄소복합재개발

년도 공약로드맵
2014 초고강도 탄소복합재개발을 위한 국제연구네트워크 구축
2015 초고강도 탄소복합재개발 공모사업 추진
2016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개발사업 추진
2017

 

세부공약 02)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신뢰성평가인증센터

년도 공약로드맵
2014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신뢰성평가인증센터 구축 타당성 조사
2015 기본계획 및 설계
2016 탄소복합재 부품 시험․인증 테스트베드 구축
2017 탄소복합재 신뢰성평가인증센터 조성

 

세부공약 03) 탄소복합재 성형기술센터

년도 공약로드맵
2014 탄소복합재 성형기술센터 기본계획 수립
2015 탄소복합재 성형기술센터 착공(공장동)
2016 탄소복합재 성형기술센터 크린룸 및 사무동
2017 탄소복합재 성형기술센터 완공

 

4-4-1. 제3핵심공약을 달성하기 위한 전체 예산규모와 함께 세부적인 재원마련 대책을 기재해 주십시오.((4-2)에서 기재하신 세부공약별로 하시거나 아니면 세부공약을 종합하여 작성해 주십시오)

○ 총사업비 3,970억원

– 초고강도 탄소복합재개발 3,000억원

–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신뢰성평가인증센터 900억원

– 탄소복합재 성형기술센터 70억원

 

4-4-2. 제3핵심공약을 달성하기 위한 4년간의 예산 배분 계획을 (4-2)에서 기재하신 세부공약별로 기재해주십시오.(단일 공약일 경우에는 단일공약에 대한 4년간의 예산 배분 계획을 작성해주십시오)

 

세부공약 01) 초고강도 탄소복합재개발

2014 2015 2016 2017
국비 1,320억원
시도비 80억원
시군구비
민자 1,600억원
기타 및 비예산

 

세부공약 02) 초고강도 탄소복합재 신뢰성평가인증센터

2014 2015 2016 2017
국비 금액(%)로 표기 770억원
시도비 55억원
시군구비 55억원
민자 20억원
기타 및 비예산

 

세부공약 03) 탄소복합재 성형기술센터

2014 2015 2016 2017
국비 금액(%)로 표기
시도비 35억원
시군구비 35억원
민자
기타 및 비예산

 

4-5. 제3핵심공약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기대하는 효과는 무엇인지를 기재해주십시오.

○ 탄소산업을 위한 원소재, 중간재, 가공 등 시험생산 관련 핵심장비 일괄구축으로 탄소관련 기업의 연구개발 및 사업화 촉진

○ 기업과 함께 연구개발 및 평가인증을 통해 탄소관련 기업유치 및 기존기업의 성장 도모

○ 전라북도를 세계적 탄소섬유산업의 중심지로 성장

  • 경실련 정당선택도우미

    정책을 보고 투표하세요.
    경실련 정책선거 도우미가 당신의
    선택을 도와 드립니다.

  • CONTACT

    03085 서울시 종로구 동숭3길 26-9

    02-3673-2141

    02-741-8564

    reform@ccej.or.kr

  • QUICK LINK
    • 경실련 홈페이지
      • 선거바로보기
    • 유권자운동본부
      • 청년칼럼
      • 청년인터뷰
      • 청년공약평가
      • 청년캠페인
    • 공약평가
      • 공약평가하기
    • 후보알아보기
      • 지난 선거운동 자료
      • 지난 후보선택도우미
    • 선거칼럼
      • 전문가칼럼
    • 정당선택도우미
      • 후보선택도우미
      • 참여후기
  • 경제정의시민실천연합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2016